지난 6월 29일, 전자동 화학물질 취급 사고에 대한 사고조사보고서가 발간되었습니다. 이번 학기 초 큰 이슈가 되었던 사고에 대한 조사 내용과 사고 대응에 대한 적절성 평가, 재발 방지를 위한 정책 제언 등이 이 보고서에 담겼습니다. 행정처장, 시설관리부장 등이 참여하는 사고조사위원회가 조사 및 보고서 발간을 맡았습니다.

 당시의 기억을 되살려 보면, 대부분의 학우들이 사고에 대해 알게 된 것은 한영훈 대학원 총학생회 회장의 메일 때문이었습니다. 사고 처리 과정에서 빼놓을 수 없는 사건이었던 만큼, 한 원총회장이 메일을 보낸 것이 적절했는지에 대한 평가 역시 보고서에 포함되었습니다. 해당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전 구성원에게 안전과 관련하여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메일을 작성하여 발송할 경우에는 학교 안전 주관부서에서 담당하고, 공식적인 절차를 거친 후 발송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됨”

 ‘한 원총회장의 메일 발송은 안전 주관부서에서 진행하지 않았고, 공식적인 절차를 거쳤다고 보기 어려우므로 적절치 못하다’는 학교 측의 생각을 읽어볼 수 있는 대목입니다. 원칙이라고 볼 수 있는, 상식적인 이야기입니다. 그러나, ‘사고 발생 당시 안전 주관부서의 대응과, 공식적인 절차의 작동은 과연 상식적이였는가’를 생각해 보면 적절성 평가의 허점이 보입니다. 

 사고 발생 이후 현장이 안전하다는 판단은 가스디텍터도, 다른 객관적인 방법도 아닌 캠퍼스폴리스의 후각에 의해 이루어졌습니다. 한 원총회장이 메일을 보내기 전에는, 전자동 주변에 있었더라도 사고 발생 사실을 모르는 학내 구성원들이 충분히 존재할 수 있었습니다. 안전 주관부서의 대응과 공식적인 절차의 작동은 상식적이었다고 보기 힘듭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원칙만을 강조하는 것은 현실을 고려하지 않은 무책임한 주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더군다나 학내 구성원들의 안전과 관련된 사안이기에 학교 측의 무책임은 더욱 우려스럽습니다. “사고 사실을 공지한 것을 문제 삼는다면, 앞으로 사고가 일어났을 때 신고할 사람이 없을 것이다”라는 한 원총회장의 이야기가 무겁게 다가옵니다.

 물론 이번 사고는 사상자 없이 끝났습니다. 하지만 만에 하나 유사한 사고가 다시 일어났을 때도 큰 피해가 없을 것이라는 보장은 할 수 없습니다. 학교 측은 이번 사고의 대응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진단해야 합니다. 

저작권자 © 카이스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