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문 문학에서, 시점은 글 속에서 서술자의 역할을 맡는 인물의 위치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대개, 소설에서의 시점은 1인칭 주인공 시점, 1인칭 관찰자 시점, (3인칭) 전지적 작가 시점, 3인칭 관찰자 시점의 4가지로 나누어집니다.

1인칭 시점은, 읽는 독자들이 자신이 등장인물이 된 것처럼 상상하며 보다 작품에 몰입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3인칭 시점은 1인칭 시점에 비해 작중 인물에 대한 몰입감은 덜할 수 있으나, 작품을 읽고 있는 독자 본인과 작품 속 주인공이 개별적 존재라는 인식이 강해지기에, 독자가 주인공의 내면 심리에 대한 예측을 덧붙이며 상상력을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런데, 문득 한 가지 생각이 듭니다. 1인칭과 3인칭은 굉장히 많이 보았는데 2인칭은 왜 잘 보이지 않을까, 하는 궁금증입니다. 이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있지만, 대체로 2인칭은 1인칭에 비해서는 등장인물의 내면을 표현하기에 아쉽고, 3인칭보다는 장면의 객관적인 묘사가 어렵다는 점이 그 이유로 꼽히곤 합니다.

허나, 2인칭은 주로 ‘너’ 혹은 ‘당신’으로 주체를 지칭하기에, 1인칭이나 3인칭과는 달리 독자가 작품 속 등장인물에 몰입하는 구조에서 벗어나 작가가 독자에게 직접적으로 말하고 있는 듯한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애시당초 작품 속 주인공을 독자라고 생각하고 글을 쓴다면, 2인칭 시점은 굉장한 힘을 발휘하곤 합니다.

게임을 좋아하시는 분들이라면 아실 법한, ‘당신은 죽었습니다.’ 같은 문장이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물론 엄밀하게 보면 완벽한 2인칭은 아니지만, ‘당신은~’이라는 표현은 보는 사람들에게 게임 속에 들어가 있는 듯한 느낌을 주곤 합니다.

저는 인터뷰도 이와 마찬가지로 2인칭 시점을 적용했을 때 굉장한 힘을 발휘한다고 느꼈습니다. 단순하게는 내가 지금 질문하고 있는 상대방을 생각하며, 내가 지금 말하는 이 질문이 내 눈 앞의 ‘당신’에게는 어떻게 비추어질지 생각합니다. 더 나아가서는 인터뷰 기사를 마주할 독자들을 떠올립니다. 기사를 읽는 ‘당신’이 기사 속 인터뷰를 진행하던 때의 인터뷰이가 된 듯한 느낌을 줄 수 있도록 2인칭의 세상을 풍부하게 표현한다면, 그게 제가 바라는 가장 완벽한 기사가 되리라고 믿습니다.

저작권자 © 카이스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