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봄은 유난히 산불 발생이 잦다. 평년보다 기온이 높고 건조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서울 인왕산과 충남 홍성, 강원도 강릉에 이르기까지 전국 곳곳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대형 산불이 발생하고 있다. 지난 4월 초에는 식목일을 앞두고 대전 서구와 금산군 경계에서 발생한 산불로 인해 축구장 1000개 넓이에 해당하는 총 752ha 면적의 산지가 사라지는 등 지역 사회도 산불 피해의 예외는 아니었다. 산림청이 발표한 산불 발생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2022년) 기준 전국에서 756건의 산불이 발생하였고, 이는 2021년 산불 발생 건수(345건)와 비교해봤을 때 두 배 이상 증가한 수치이다. 올해 4월 기준으로 산불 피해는 이미 2021년 수준을 넘어섰다고 한다. 이렇듯 최근 들어 산불이 전지구적으로 더욱 빈번해지고 강렬해진 데는 기후 변화로 인한 가뭄이나 폭염 등 이상 기후가 중요한 원인으로 꼽힌다. 실제로 산불 피해는 한국뿐 아니라 전지구적인 현상이다. 미국 캘리포니아와 호주 등지에서도 초대형 산불이 발생해 수많은 인명 피해와 재산피해가 발생하고 동식물의 서식지가 사라지는 등 생태계 전반이 큰 피해를 입었다. 유엔환경계획(UNEP)은 기후 변화로 인해 2030년까지 대형 산불이 최대 14%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산불과 기후 위기는 상호적인 관계이다. 기후 온난화가 산불의 원인이 되는 동시에, 산불이 기후 온난화를 악화시킨다. 화재로 직접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는 것에 더해 애써 조림한 숲이 파괴되면서 나무가 가둬두었던 이산화탄소가 추가로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에 탄소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체계적인 조림 사업과 나무의 탄소저장을 연장할 수 있는 방도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먼저 기후 위기의 관점에서 화마를 입은 나무의 처리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현재는 산불 피해로 벌채한 나무의 상당수가 화력발전소에서 연료로 사용되는 실정이다. 바이오매스는 친환경적인 신재생에너지로 각종 특혜를 받으며 각광 받고 있다. 그러나 발전소에서 나무를 태우면 나무가 자라면서 흡수한 탄소가 공기 중으로 뿜어져 나오는데 그 배출양이 석탄보다도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피해목을 바이오매스가 아니라 다시 가공해 가구나 합판 재료로 활용한다면 그 기간만큼 나무의 탄소저장 기간이 늘어나게 된다. 나무로 지은 건물은 철이나 콘크리트로 된 건물과 달리 생산과 이동, 철거 과정에서 탄소를 덜 배출할 뿐 아니라, 탄소를 일정 기간 가둬두는 저장고 역할을 함으로써 탄소 감축 효과가 크다.

산불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일상적인 불조심과 산림 보호에 대한 주의가 요청된다. 또한 효율적인 소방 시설의 마련과 전문 소방 인력의 충원, 종합적인 재난 관리 및 복구 대책을 통해 산불 대응력을 높여야 한다. 나아가 전지구적인 기후 변화에 대한 위기감을 갖고 탄소 중립의 관점에서 체계적인 조림 정책과 창의적인 목재의 활용을 고민해야 할 시점이다. 


 

저작권자 © 카이스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