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입생과 재학생 및 졸업생 찬반 갈려... 기초과목 P/NR 제도 필요성에는 응답층 전반 공감 표시해

본지는 현행 P/NR 제도의 도입이 확정된 이후, 장기 취재를 계획하였다. 이의 일환으로 P/NR 제도의 시행 전 현행 P/NR 제도와 관해 학생사회가 느끼는 생각을 설문조사를 통해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는 구글 설문지를 통해 1월 18일부터 1월 27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설문지는 교내 메일, 대학생 커뮤니티 서비스 <에브리타임>(이하 에타), 새내기학생회 주최 새내기 단체 채팅방, 본지 홍보 SNS 등을 통해 23학번 학부 신입생 및 재학생, 졸업생에게 전달되었다. 총 응답자는 829명으로, 신입생 128명(15.4%), 재학생 507명(61.2%), 졸업생 194명(23.4%)으로 구성되었다.
 

현행 P/NR 제도 전반

본지는 1월 18일부터 1월 27일까지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위는 현행 P/NR 제도의 학생사회 찬반여론 결과이다.                                                                                                                        © 이준하 기자
본지는 1월 18일부터 1월 27일까지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위는 현행 P/NR 제도의 학생사회 찬반여론 결과이다.                                                                                                                        © 이준하 기자
신입생에서는 압도적으로 찬성이 높고 재학생 및 졸업생에서는 압도적으로 반대가 높았다.                       © 이준하 기자
신입생에서는 압도적으로 찬성이 높고 재학생 및 졸업생에서는 압도적으로 반대가 높았다.                       © 이준하 기자

 

현행 P/NR 제도에 찬성하는 응답자는 318명(38.4%), 반대하는 응답자는 511명(61.6%)으로 집계되었다. 이를 신입생, 재학생, 졸업생으로 나누어 볼 경우, 신입생 중 찬성 응답 118명(92.2%), 반대 응답 10명(7.8%), 재학생 중 찬성 응답 139명(27.4%), 반대 응답 368명(72.6%), 졸업생 중 찬성 응답 61명(31.4%), 반대 응답 133명(68.6%)으로 조사되었다. 전반적으로 볼 때 반대가 우세하지만, 세부적으로 보면 신입생에서는 압도적으로 찬성이 높고 재학생 및 졸업생에서는 압도적으로 반대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현행 P/NR 제도 찬반 응답자에 관해 그 세부적 이유를 추가로 물었다. 찬성 응답자의 경우, 신입생 학업 부담 경감을 찬성의 가장 큰 이유로 꼽는 응답자가 많았다. 전체 찬성 응답자 318명 중 146명(45.9%)이 학업 부담 경감을, 120명(37.7%)이 자유로운 전공 선택을, 41명(12.9%)이 학업 외 활동 도전을 이유로 찬성했다고 응답했다. 이 외에도 기타 의견으로 학생들의 자존감 확보 등이 언급되었다. 511명의 반대 응답자에서는 과반을 넘는 292명(57.1%)이 학업 역량 저하를 반대의 가장 큰 이유로 선택했다. 이 외 학점 인플레이션 초래 124명(24.3%), 수업 태도 불량 60명(11.7%) 순으로 가장 큰 반대 이유를 골랐다. 기타 의견으로는 고학번과의 형평성, 취지 달성에 관한 의문 등이 등장했다.

 

신입생에서는 압도적으로 찬성이 높고 재학생 및 졸업생에서는 압도적으로 반대가 높© 이준하 기자
찬반 응답자의 세부적 이유는 다음과 같았다.                                                                   © 이준하 기자

 

현행 P/NR 제도 개선 방식을 물었다 (복수 응답 허용). 찬성 응답자에게는 어떻게 바꿀 경우, 더욱 개선될지, 반대 응답자에게는 어떻게 바꿀 경우, 찬성할지 질문했다. 총 응답자 829명 중 388명(46.8%)이 P 기준의 상향을, 385명(46.4%)이 기초과목만 인정을 선택했다. P/NR 인정 학점이 줄어들 경우 개선된다는 답변이 140명(16.9%), 어떻게 바꾸든 반대한다는 답변이 112명(13.5%), 현행이 가장 낫다는 답변이 62명(7.5%), P/NR 인정 학점을 늘릴 경우 개선된다는 답변이 59명(7.2%)으로 뒤를 이었다. 찬성과 반대 응답자를 분리하여 통계를 낼 경우에도 결과는 유사하다. 찬성 응답자 318명 중 143명(45.0%)이 P 기준의 상향, 105명(33.0%)이 기초과목에만 한정, 62명(19.5%)이 현행 유지, 56명(17.6%)이 P/NR 제도 인정 학점 증가, 32명(10.1%)이 P/NR 인정 학점 축소를 개선 요소로 꼽았다.

현행 P/NR 제도에 관한 학교의 안내가 충분했는지 학생들의 의사를 물었다. 매우 부족했다고 답한 응답자는 169명(20.4%), 부족했다고 답한 응답자는 344명(41.5%), 충분하다고 답한 응답자는 257명(31.0%), 매우 충분하다고 답한 응답자는 59명(7.1%)이었다. 긍정 응답자 316명(38.1%), 부정 응답자는 513명(61.9%)였다. 부정 응답자는 P/NR 제도에 관한 설명을 에타에서 처음 봤다, 소문으로만 암암리에 전해져 알기 어려웠다, 공식적인 공지를 본 적이 없다, 아예 들어본 적 없다 등의 의견을 밝혔다. 긍정 응답자는 신입생에게는 잘 전달되었다, 이메일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등의 의견을 밝혔다. 다만 설문 말미인 지난 26일, 포털을 통해 P/NR 제도에 대한 공지가 이루어져 현재와 다소 다른 결과일 가능성이 있다.
 

현행 P/NR 제도 이용 방안

각 교과 별로 P/NR 제도 개선 및 사용 방안을 물었다. 교과의 구분은 기초 필수, 기초 선택, 주전공 필수, 주전공 선택, 부전공/타전공 전공 필수, 부전공/타전공 전공 선택, 교양 필수, 교양 선택으로 구분했다.

각 교과 별로 P/NR 제도 개선 및 사용 방안을 물었다.                                                    ​​​​​​​​​​​​​​ © 이준하 기자
각 교과 별로 P/NR 제도 개선 및 사용 방안을 물었다.                                                    ​​​​​​​ © 이준하 기자
©이준하 기자
©이준하 기자

 

공통적으로 주전공 필수, 주전공 선택의 경우, P/NR 제도가 불필요하다는 답변이 높았다. 주전공 필수의 경우, 매우 불필요하다 504명(60.8%), 불필요하다 164명(19.8%), 필요하다 115명(13.9%), 매우 필요하다 46명(5.5%)으로 부정 의견 668명(80.6%), 긍정 의견 161명(19.4%)으로 부정 의견이 압도적이었다. 경향성은 주전공 선택에서도 유사하게 유지된다. 매우 불필요하다 474명(57.2%), 불필요하다 185명(22.3%), 필요하다 132명(15.9%), 매우 필요하다 38명(4.6%)으로 부정 의견 659명(79.5%), 긍정 의견 170명(20.5%)으로 부정 의견이 많았다. 이는 전공과 희망 교과를 탐구하라는 학교의 취지와 다소 대비되는 결과였다.

부전공/타전공 역시 마찬가지로 P/NR 제도가 불필요하다는 답변이 높았다. 부전공/타전공 필수의 경우, 매우 불필요하다 375명(45.2%), 불필요하다 163명(19.7%), 필요하다 206명(24.8%), 매우 필요하다 85명(10.3%)으로 부정 의견 538명(64.9%), 긍정 의견 291명(35.1%)으로 부정 의견이 많았다. 비슷하게 부전공/타전공 선택도 매우 불필요하다 381명(46.0%), 불필요하다 167명(20.1%), 필요하다 184명(22.2%), 매우 필요하다 97명(11.7%)으로 부정 의견 548명(66.1%), 긍정 의견 281명(33.9%)로 부정 의견이 비교적 많았다.

반면 기초 교과목에서는 사뭇 다른 결과가 나왔다. 기초 필수 과목에서 P/NR 제도가 매우 불필요하다 185명(22.3%), 불필요하다 114명(13.8%), 필요하다 327명(39.4%), 매우 필요하다 203명(24.5%)으로 긍정 의견 530명(63.9%), 부정 의견 299명(36.1%)으로 긍정 의견이 많았다. 기초 선택 과목의 경우, 매우 불필요하다 220명(26.5%), 불필요하다 190명(22.9%), 필요하다 310명(37.4%), 매우 필요하다 109명(13.1%)으로 긍정 의견 419명(50.5%), 부정 의견 410명(49.5%)으로 긍정 의견이 좁은 범위에서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이준하 기자
© 이준하 기자
© 이준하 기자
© 이준하 기자

 

P/NR 제도를 사용할 희망 과목 역시 조사했다 (중복 응답 허용). 신입생 128명 중 94명(73.4%)이 기초 필수, 45명(35.2%)이 기초 선택, 33명(25.8%)이 교양 필수에 P/NR 제도를 사용할 예정이라 답했다. 이외 주전공 전공 선택 22명(17.2%), 부전공/타전공 전공 필수 22명(17.2%), 주전공 전공필수 18명(14.1%), 부전공/타전공 전공 선택 17명(13.3%), 교양 선택 16명(12.5%)이 뒤를 이었다. 신입생 중 63명(49.2%)은 P/NR 제도 도입 이후 희망 수강 과목이 변화했다고 답했다. 신입생들에게 해당 과목을 P/NR 제도로 고른 이유를 묻자, 73명(57.0%)이 듣기 싫은 필수 과목이라고 답했다. 이후 30명(23.4%)이 학점을 잘 안 주는 과목이라서, 26명(20.3%)이 미리 듣고 싶었던 상위 과목이라서, 23명(18.0%)이 로드가 많은 과목이라서 해당 교과과목을 P/NR 제도로 대체하고자 한다고 답했다. 신입생 중 P/NR 제도로 학업량이 줄 것이라고 생각하는 응답자는 66명(51.6%), 변화하지 않을 것이라 답한 응답자는 42명(32.8%), 늘어날 것이라 답한 응답자는 20명(15.6%)이었다.

재학생 및 졸업생에게는 자신이 신입생이었다면 어떤 과목을 P/NR 제도로 사용할지 물었다. 그 결과, 신입생과 동일하게 기초 필수 대체가 379명(54.1%)으로 가장 많게 나타났지만, 신입생에서 다른 응답에 비해 비교적 응답자 수가 적었던 주전공 전공 필수 과목 대체가 293명(41.8%)으로 그 뒤를 이었다. 기초 선택 과목 181명(25.8%), 주전공 전공 선택 과목 169명(24.1%), 부전공/타전공 전공 필수 135명(19.3%)으로 기초 선택 과목 혹은 교양 필수 과목이 높았던 신입생과는 다소 다른 양상을 보였다. 질문을 조금 바꾸어 올해 들어올 신입생이 대체할 과목을 예측해보라고 요청해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기초 필수 454명(64.8%), 주전공 전공 필수 393명(56.1%), 기초 선택 196명(28.0%), 주전공 전공 선택 173명 (24.7%), 부전공/타전공 전공 필수 127명(18.1%))

저작권자 © 카이스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