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경기 평택항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던 23살 청년이 개방형 컨테이너에 몸이 깔려 사망했다. 그의 죽음은 2주가 지나고 나서야 세상에 알려지기 시작했다. 한 신문 칼럼은 이러한 죽음이 너무도 많아 언론이 일일이 보도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청년세대의 위기가 우리 사회의 화두가 된 지 오래다. 이와 관련해 주로 청년실업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활발한데, 취업난이 장기화하면서 그 영향이 다양한 사회문제로 나타나고 있다. 최근 한 언론 보도에 따르면 생활비 부족으로 끼니를 챙기지 못한 20대 청년 비율이 37.1%로 청년의 생활고 문제가 심각하다. 이뿐만 아니라 청년 고독사와 관련해서도 충격적인 보도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고독사는 노년층의 문제로만 인식되는 경향이 있는데, 최근 청년 고독사 수치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적으로 2030세대 무연고 사망 사례가 2017년 63건에서 지난해 100건으로 3년 사이 약 58% 증가했다. 이러한 현실은 1인 가구 증가와 맞물려 있는데, 지난 4월 기준 1인 세대는 913만9287세대로 전체 가구 대비 역대 최고치인 39.5%를 기록했다. 그중 2030세대의 1인 가구 증가가 눈에 띄는데, 2005년과 비교해 20%나 늘어난 것으로 드러났다. 문제는 청년세대의 1인 가구 증가가 주거환경 악화, 사회적 고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데 있다. 즉 청년들이 경제적 궁핍으로 인해 반지하, 옥탑방, 고시원 등으로 내몰리고, 이에 따라 우울증이나 무기력을 동반한 심리적 고립의 위기가 커지고 있다.

    청년세대 내 불평등 심화 또한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지난 3월 서울연구원이 출판한 보고서 ‘장벽사회, 청년 불평등의 특성과 과제’에 따르면 2000년대 이후 한국사회에서 나타난 사회경제적 변화는 소득, 자산, 교육, 노동시장, 주거 등 다양한 차원에서 불평등의 심화를 낳았고, 이는 현재 1990년대생인 20대 청년에게 불리하게 작동하고 있다. 특히 노동시장의 이중구조화와 불안정성 증가는 주거안정성, 가족 형성 등에 악영향을 주고 있으며, 그 결과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불평등의 고착화 경향이 더욱 강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청년 문제에 대한 정치권의 대응은 아직까지 미흡한 형편이다. 최근 여권의 일부 대선 주자들이 청년 공약이라는 이름으로 경쟁하듯 ‘현금 복지’를 약속했으나, 이러한 접근은 청년세대가 직면한 구조적 현실을 극복하기에는 고식지계(姑息之計)에 불과하다. 본지에서 이번에 우리 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한 정치권에 대한 설문조사는 청년세대의 기성 정치권에 대한 실망과 좌절을 그대로 보여준다. 지지 정당이 없다는 응답 비율이 30%를 웃도는 현실은 청년세대의 정치권 전반에 대한 불신을 방증한다고 할 수 있다. 

    청년세대가 직면한 지금의 위기는 이제 더 이상 청년 문제를 개인의 문제로만 간주해서는 안 된다는 사실을 여실히 보여준다. 정치권은 선거용 선심성 공약과 같은 임시변통 해결책만 제시해서는 안 된다. 복합적 양상으로 나타나는 청년세대 문제를 사회 전체의 문제로 인식하고 실질적인 해결을 위해 고민하고 노력해야 한다.

저작권자 © 카이스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