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을 중심으로 코로나19가 재확산의 조짐을 보이면서 내수를 부양하려던 정부의 정책은 큰 차질을 빚게 되었다. 정부는 방역과 경기 활성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기 위해 방역 지침을 권고하는 가운데 외식·여행·전시·공연 등의 할인쿠폰을 지급하는 등 경기를 부양하는 정책을 시행하였다. 하지만 정부는 코로나 재확산의 징후들이 분명해지자 경기부양책을 중단하고 물리적(사회적) 거리두기를 2단계로 상향 조정하였다. 감염병 확산의 도전에 직면한 대학 또한 정부와 비슷한 고민에 빠져있다. 연구와 교육기능의 정상화를 위해 언제쯤이면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을까?
우리 학교는 일찌감치 가을 학기에도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비대면 수업으로 진행하기로 결정하였다. 지금과 같은 추세라면 비대면 수업이 더욱 장기화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사회적으로 코로나19 이후의 사회에 대한 담론들이 활발히 논의되고 있고 지난 6월 16일자 우리 신문(477호) 사설에서도 포스트 코로나 논의에 대해 다루었지만, 이제 코로나 이후는 코로나의 종식이 아닌 코로나 사태의 장기화를 뜻하게 되었다. 
학교에서는 비대면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 각종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으며 성공적인 수업의 사례들을 교수들에게 공유하여 비대면 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단시간 내에 비대면 수업의 부작용을 없앨 수는 없으며, 비대면 수업의 장점을 극대화하는 데에도 경험의 축적이 필요할 것이다. 게다가 비대면 수업은 학생들간의 소통을 활성화하는데 큰 장애가 되고 있다. 대학 교육의 정수는 학생들이 해당 분야를 오랜 시간 전공한 전문가로부터 지식을 전수받는 것 뿐만 아니라 학생들간의 상호 교류를 통해 동료들끼리 협력하며 스스로 성장하는 경험을 쌓아나가는 데에서 찾을 수 있다. 학교의 정책은 결국 비대면 환경에서 교수와 학생간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지식 전수를 정상화하는데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오늘자 우리 신문의 20학번 새내기 인터뷰는 감염병이 일상이 되어버린 우울한 현실 속에서 작은 가능성을 발견하게 해 준다. 이들은 온라인 비대면 수업은 대면 수업에 비해 집중도가 떨어지고 피로도가 높으며 교수와의 소통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어려움이 컸다는 평가를 하고 있지만, 동시에 필요한 자료들을 스스로 찾아가며 강의 내용을 이해해 가는 과정에서 흥미를 느끼기도 했다고 자평했다. 일부 학생들은 한번도 만나보지 못했던 룸메이트와 종종 연락을 하며 지냈고 생일 선물도 받았던 경험을 인상적으로 기억하고 있었다. 
공식적인 정책의 한계에 따른 비용을 구성원들에게 전가해서는 안되겠지만, 위기에 대응하는 학교 구성원들의 자발성을 과소평가 해서도 안된다. 공식적 정책의 목표와 한계를 명확히 인식하고 대학 당국의 정책적 노력과 교수·학생들의 자발적인 대응이라는 두 가지 변화의 동력이 조화를 이루는 가운데 대학 공동체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나름의 방법을 찾기를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카이스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