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바이러스의 전 세계적인 확산으로 우리 모두의 삶이 크게 변화했다. 학부생에게는 귀가 조치가 내려졌고, 수업은 대부분 온라인 비대면 강의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수개월째 바이러스 확산세가 잦아들지 않는 가운데, 코로나19 종식 이후에도 우리의 삶은 이전으로 돌아가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세계적으로 새로운 질서가 만들어질 것이라는 예측이 담긴 ‘포스트 코로나’, ‘뉴노멀’ 등의 용어가 언론에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다. 본 기사에서는 코로나19 사태가 KAIST에 어떠한 변화를 만들어낼지, 그 과정에서 필요한 노력에는 무엇이 있을지 고찰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코로나19 사태 이후를 대비하고 준비해보는 계기가 만들어지기를 기대한다.

 

온라인 수업, 사태 이후에도 이어질까

최근 우리 학교에서 마주할 수 있는 가장 큰 변화는 온라인 수업이다. 온라인 수업은 기존에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코로나19 사태로 대면 수업이 어려워지자, 온라인 수업이 강의의 주된 형태가 되었다. 이는 온라인 수업의 장점과 제한점을 동시에 드러내었다.

시간과 장소에 덜 구애받으며 수업을 수강할 수 있다는 점, 수업 내용을 여러 번 확인할 수 있어 내용 이해가 보다 수월하다는 점 등이 온라인 수업의 장점으로 거론되고 있다. 반면, 인터넷 연결 상태에 따라 수업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점, 평가 시 공정성이 훼손될 수 있다는 점 등이 온라인 수업의 제한점으로 언급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함께 수업을 듣는 학우들과 토론할 수 있는 기회가 위축된다는 점도 온라인 수업의 한계로 지적된다.

또한, 온라인 수업이 진행되는 데 ‘보이지 않는 노력’이 많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었다. 한혜정 대학원 총학생회장은 “온라인 강의를 위해서는 강의를 녹화하고, 편집하고, 에러를 바로잡는 것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조교 업무가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교수와 교직원의 업무량도 증가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온라인 수업이 코로나19 사태 이후에도 폭넓게 실시될 수 있을지 살펴보았다. 이광형 교학부총장은 “이번 학기를 통해 온라인 수업의 장단점을 경험하게 되었다”고 밝히며 “앞으로도 온라인 수업과 대면 수업의 장점을 살리는 하이브리드 방식이 개발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이와 함께, 채팅창 등의 소통 수단을 적극 활용한다면 토론이 어렵다는 온라인 수업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 교학부총장은 “온라인에서도 대학 고유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며 새로운 대안 마련을 강조했다.  더불어 온라인 수업으로 인한 조교 혹은 교직원의 업무 과중에 대한 대안도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온라인 디펜스 등 변화한 연구 방식

한편,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연구의 방식이 대폭 변화되었다는 의견도 있었다. 한 원총회장은 “연구에는 실험을 진행하고 논문을 쓰는 것 외에도 사람들과 만나서 아이디어를 교환하는 것도 포함된다”고 말하며 “코로나19로 인해 아이디어를 교환하는 방식이 변화했다”고 전했다.

한 원총회장은 학위논문심사를 예로 들며, “이전에는 대면으로 심사를 진행하는 것이 원칙이었으나 이번 학기부터는 지도교수도 학위논문심사에 원격으로 참여하는 등 ‘원격 디펜스’가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외부 연사가 참여하는 콜로퀴움이나 세미나, 외부 연구팀과의 회의도 화상으로 전환되는 등 많은 변화가 있다고 전했다. 한 원총회장은 다양한 학회가 취소되거나 온라인으로 전환되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코로나19 사태 이후에 대한 전망과 관련해서 한 원총회장은 “온라인을 이전보다 폭넓게 사용하는 방향성이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다만 오프라인 방식도 나름대로의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일부는 오프라인 방식으로 다시 돌아갈 수 있다”는 생각을 밝혔다. 연구 활동에서도 이번 코로나19 사태에서의 경험을 활용해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적절한 균형점을 찾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학내 단체 활동 위축, 해결책은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동아리부터 학생회까지, 학내 단체의 활동이 상당 부분 위축되었다. 직접 모일 수 있는 기회가 사라져 동아리 활동이 어려워졌고, 학생들이 캠퍼스에 없다 보니 학생회가 제공하는 복지 사업들도 대부분 취소되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학내 단체의 활동을 재개하는 것도 KAIST 구성원들의 숙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 원총회장은 이와 관련해서, “그동안 진행해오던 사업을 한두 번 하지 못하는 정도는 큰 문제가 아니겠지만, 이러한 활동들에 대한 기억이나 노하우가 끊기게 되는 것이 걱정된다”고 전했다. 

이 교학부총장 역시 “학생들의 동아리 활동 위축이 가장 아쉬운 지점이다”라며, “온라인을 통해서도 동아리 활동을 전개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다”라는 생각을 드러냈다.

윤현식 학부 총학생회장은 “등교가 재개된 후 동아리 및 자치 활동이 이전과 같이 살아나기 위해서는 더 많은 활동의 기회와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활동 지원을 위해 예산을 지원하는 방안도 언급했다.

 

사회 속에서 KAIST의 역할

이번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KAIST가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아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이 교학부총장은 “이번 코로나19 사태에서 우리 학교는 ‘이동형 병원’, ‘위치정보 기반 감염경로 파악 시스템’을 개발하여 국가에 기여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학생과 교수 각자가 사회를 위해 할 수 있는 일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또한, “의료산업을 진흥하여 미래 먹거리를 만드는 일도 새로운 과제가 될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사회 구성원들이 KAIST를 특별히 지원해 키우고 있는 만큼, KAIST 역시 사회가 위기에 처했을 때 앞장서야 한다는 주장이다. 

 

코로나19 사태를 통해 얻은 교훈은

코로나19 사태는 우리 모두에게 고통을 남겼지만, 그 고통을 교훈 삼아 새로운 배움을 얻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이 교학부총장은 “인류의 역사를 볼 때, 새로운 도약은 위기가 있었을 때 이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일어났다”며 “지금의 위기도 새로운 도약을 위한 기회였다고 생각할 수 있게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한 원총회장은 “지금껏 수업이나 연구 체제를 지탱하는 데 대학원생 조교들의 노력이 컸다”며 “이번 사태로 인해 누군가 보이지 않는 곳에서 노동을 하고 있는지 드러난 것 같다”는 생각을 전했다.

윤 총학생회장은 온라인 수업을 통해 얻은 경험을 군 복무자를 위한 원격 강의 등 원격 강의가 필요한 정책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드러냈다. 또한, 윤 총학생회장은 “코로나19 사태를 통해 학생들에게 학교가 제공하는 체계가 얼마나 중요한 의미를 갖는지 드러났다”고 말했다. 이어 “제도와 시스템, 위기에 대한 유연한 대응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카이스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