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개혁, 크고 작은 반발

 서 총장이 차등 수업료 부과 제도를 폐지하겠다고 발표했지만, 많은 학우들은 “차등 수업료 부과 제도만 수정한다고 해서 우리 학교가 처한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라며 다른 정책에 대해서도 추가적이고 심도 있는 대책을 요구했다. “학교 당국이 학생의 의견을 정책 수립에 반영해야 한다"라는 의견도 적지 않았다.

‘전면 영어강의제'는 트위터와 ARA 등을 중심으로 가장 많은 성토가 이어졌다. 국제무대에서 활약할 우수한 인재를 양성한다는 취지하에 학교는 2007년부터 점진적으로 영어강의를 시작한 바 있다. 현재는 인문사회과학부의 일부 강의 등을 제외하고는 모두 영어로 수업한다.

일부 학우들은 “영어 실력이 학점을 좌우한다", “강의를 이해하지 못한 채로 듣고 있을 때가 많다", “학업부담이 과하다"라며 전면 영어강의제를 축소할 것을 요구했다. 한 10학번 학우는 ‘총장과의 대화'에서 “교수와 학생의 영어 의사전달 능력이 충분하지 못하면 수업에 흥미를 느끼기 어렵다"라고 토로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서 총장은 “우리 학교가 잘되려면 외국인 학생이 많아야 한다"라며, “세계적 명문대학들이 영어강의를 시행하고 있는 만큼 공통어인 영어로 수업하는 것이 좋다"라고 말했다.

연차초과자 감소 정책도 도마에 올랐다. 현재 8학기를 초과해 재학할 경우 수업료 전액을 부과하고, 생활관 배정에서 후순위로 밀리는 등 불이익을 주고 있다. 한 석사과정 학우는 “수업 연한을 초과한 07학번 동기들의 부담이 지나친 것 같다"라고 비판했다. 09학번의 한 학우도 “8학기라는 기준을 설정하고 ‘수업 연한'과 ‘연차초과'라는 신조어까지 만들어내는  것은 부당하다" 라고 말했다. 이균민 교무처장은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연차초과자의 경우 국공립대 수준인 학기당 320만 원 정도의 등록금을 징수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한편, 학부총학생회는 부·복수전공을 이수하면 연차초과를 각각 1학기와 2학기동안 유예하던 제도가 11학번부터는 폐지된 것을 철회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실패를 만회할 기회를 주고 다양한 학문을 섭렵하기 위해 학우들은 재수강과 계절학기에 관한 여러 제한도 완화할 것을 주장했다. 하지만, 어느 항목을 얼마나 완화해야 하는 지에 대해서는 학우 간에 이견을 보였다. 현재 재수강은 ▲취득학점 B+ 이하 ▲졸업시까지 3회 이하 ▲학점당 재수강료 7만5천 원의 3중 규제가, 계절학기는 ▲강의 대폭 감축 ▲타대학 계절학기 자유선택에 포함 ▲학점당 수강료 15만 원의 3중 규제가 적용되고 있다.

“당장의 정책 개선보다 중요한 것은 학생의 목소리를 듣고자 하는 학교 당국의 의지다"라는 지적도 있었다. 09학번의 한 학우는 “근본적으로, 그간의 학교의 개혁 과정에서 학생은 없었다"라며, “학생 사회와 학교 당국 상호간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카이스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