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리용]

여야가 전체적으로 좌회전을 하면서, 정치권에서 ‘복지’바람이 불고 있다. 민주당은 ‘보편적 복지’라는 어젠다를 들고 나왔고, 한나라당조차 감세정책 철회를 논의한다. 최근 청와대의 ‘공정한 사회’도 복지민주주의와 연관된다. 왜 하필이면 ‘복지’인지 생각해봐야 한다. 복지란 정부에서 ‘국민의 생활’을 책임져주는 일이다. 지금 우리나라는 부동산 경기 침체와 가계 부채 최고조라는 진퇴양난의 경제상황에 놓여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민 대부분이 살기 힘들다고 느끼고, 경제학적 해법으로도 SOC가 아닌 복지 투자가 제기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복지는 실질적으로 반드시 필요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제 우리 학교로 눈을 돌려보자. 학교에서 ‘학우의 생활’을 책임져주어야 하는 것은 아닐까? 사실상 모든 학우가 기본적인 의식주부터 문화생활까지 학교 안에서, 혹은 기껏해야 학교 몇 킬로미터 반경 내에서 해결한다. 현실적으로 복지가 반드시 필요한 상황이다. 학우가 느끼는 좋은 대학이란 결국 복지 수준에서 판가름이 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복지 정책은 자칫 잘못하면 ‘밑빠진 독에 물 붓기’가 되기 쉽다. 제대로 된 합의가 없다면 수요자의 필요와 정책 투자가 어긋나버릴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우리 학교의 복지도 정치권과 마찬가지로 학생대표가 학교에 얼마나 큰 목소리를 내느냐에 달려있다.

이번 학기부터 운영을 시작한 ‘카이스트 클리닉’과 ‘류근철 스포츠 컴플렉스’는 합의를 이끌어낸 좋은 예이다. 두 시설의 구체적인 운영 방안을 결정하고자 학생대표가 학교의 담당 부서와 수차례 만나 합의를 이끌어냈다. 국내에서 찾기 힘든 모범적인 사례다. 학교는 세계적인 경쟁력을 위해, 학생대표는 학우들의 권익을 위해, 이러한 복지 창출은 반드시 계속되어야 한다.

이제 기본적인 의식주도 개선해야 한다. 식생활은 우리 학교의 고질적인 문제로 제기되어 왔다. 따라서 현재 학부총학생회가 진행하고 있는 개선 사업에 보다 적극적으로 학교가 협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완공을 앞둔 새로운 기숙사가 학우들의 주거생활을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학부총학생회 선거가 다가오고 있다. 색깔론 같은 네거티브 선전 없이 정책을 통한 선의의 경쟁으로 선거를 통해 많은 학우가 모두를 위한 복지에 관심을 기울이게 되기를 바란다. 이러한 관심이 학생 대표들이 계속해서 좋은 ‘정치’를 할 수 있도록 감시의 눈으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카이스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