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 노동자의 정규직화 시위가 일어났던 작년 11월 이후 약 6개월이 지났다.(관련기사 본지 455호,  <정년 문제에 부딪힌 정규직화,  집회 예정돼>) 정규직화 전환 시점과 정년에 대한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했던 작년과 비교해 현재 어떤 단계까지 도달하였는지 윤재성 시설인력팀장과 김호경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이하 민주노총) 공공운수 대전세종충남지역일반지부 지부장과의 인터뷰를 통해 알아보았다.

 현재 노동자 정규직화 진행 단계에 대해 윤 팀장은 “합의서의 초안을 만들어서 근로자 측과 최종 협의를 하는 단계”라 설명했다. 이어, “이전에는 직종과 요건에 따라 수당을 다르게 적용했다. 하지만 이제는 같은 기준을 적용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처럼 많은 부분을 하나의 기준으로 맞춰나가야 한다. 현재 근로조건, 임금수준, 체계, 근로 형태에 대한 내용은 조율된 상황이지만 정년에 대한 의견 조율이 필요한 상태”라고 덧붙였다. 정년과 관련하여 의견 차이가 발생한 이유에 대해 윤 팀장은 “정부의 가이드라인이나 선례들을 참고하고 형평성을 고려했을 때 65세를 정년으로 지정하는 것이 좋다고 본다. 그러나 일부 용역 측에서 70세로 지정하자는 의견이 있어 조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근로조건과 임금이 기존의 사항보다 저하되지 않으면서 학교 측 용역 계약 예산이 추가로 소비되지 않도록 하는 절충안을 모색 중이다. 또한, 학교와 노동자, 양측에서 모두 동의를 해야만 진행을 할 수 있다. 양측의 동의를 구하는 과정에서 시간이 조금 소요되더라도 정부에서 제시한 가이드라인에 따라 충실하게 협의를 해서 나아가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정규직화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는 시기에 대한 질문에 “올해 6월 말과 11월 말에 각각 약 100명, 370명 정도를 대상으로 정규직화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그러나 합의 후에도 근로계약서 전환 설명회, 인사위원회 안건 승인 등 여러 절차가 필요하다. 만약 정년에 대한 합의가 늦어진다면, 예정된 정규직화 날짜가 지연될 수도 있다. 지금 합의안을 완성해서 예정대로 6월과 11월에 정규직화가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지만, 현재 상황으로 미루어 보았을 때 어려울 수도 있을 것 같다”는 입장을 보였다.

 한편, 김호경 지부장은 “현재 최종 합의안을 작성하는 중이라 구체적인 입장을 밝히는 것이  조심스럽지만, 시설인력팀 측에서 밝힌 정년 관련 갈등을 조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저작권자 © 카이스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