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 29일 서지현 검사의 폭로를 기점으로 미투 운동이 시작되면서, 현재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미투 운동이 문화예술계까지 널리 퍼졌습니다. 이를 계기로 많은 사람들이 권력을 가지고 있는 강자에게 당한 일들을 공유하였고, ‘힘에 의한 성폭력’ 피해가 대한민국을 흔들게 되었습니다. 사람들은 진실에 대해 분노하고 미투 운동 참가자들을 지지하면서, 유명인이 성폭력 가해자였다는 사실에 실망하고 배신감을 느꼈습니다. 미투 운동에 대해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스스로를 되돌아보는 분들도 생겼습니다.

  실제로 이 운동을 통해 고은 시인, 조민기 배우, 이윤택 연출가뿐만 아니라 여성과 소수자 인권에 관해 목소리를 내던 안희정 전 충남지사가 성추행 및 폭행의 가해자로 밝혀졌습니다. 용기 있는 피해자들 덕분에 도덕적이고 교양 있는 가면을 쓰고 있던 권력자들의 맨 얼굴들을 국민들이 직면할 수 있었습니다. 이 덕분에 서로에 대한 존중과 배려에 대해 더 유념하고 조심하는 분위기가 사회에 형성되게 되었습니다. 피해자들이 그늘에 숨어야 하는 사회적 모순을 파타하기 위해 국민들은 응원을 하였습니다.

  그러나 미투 운동을 남녀 간의 성적 문제로 간주하여 남녀 간 대립이 발생하거나 젠더 이슈로서 초점을 맞추는 일이 발생하였습니다. 일부는 미투 운동에 대해 마녀사냥을 하는 것이다, 미투 운동이 왜곡되어 꽃뱀에게 당한 사람들이 피해를 입게 된다는 반응도 나타났습니다. 실제로 미투 운동의 영향력이 커지자 몇몇 유명인에 대해 거짓된 정보를 올리고 무고한 피해자를 만든 일이 발생하면서 이들의 부정적인 시각에 더 힘을 발휘하게 되었고 미투 운동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도 증가하게 되었습니다.

  이뿐만이 아니라 현재 미투 운동이 조금씩 변질되어 가면서, 사람들은 누가 쓴 글보다는 누구에 관한 글인지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피해자를 위한 대책보다는 가해자에 대한 비난에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허위 사실을 유포하여 현재 약자가 강자에게 당하고도 아무런 말도 하지 못하는 사회를 극복하기 위해 만들어진 운동을 단순한 사회적 이슈로 치부하고, 미투 운동의 악영향을 외치는 목소리가 커지게 되었습니다.

  미투 운동은 ‘약자가 강자에게 동등한 인격체로 대우받지 못하는 사회에 대한 고발’입니다. 또한, 사회 전반에 권력이라는 이름 뒤에 숨어있던 범죄자들이 밝혀져 벌을 받고 제2의 피해자가 생기지 않도록 사회를 변화시키는 것이 미투 운동의 취지라고 생각합니다. 미투 운동은 성폭력을 겪은 이들을 위한 것이지 특정 소수자들을 위한 운동이 아닙니다. 사회에 만연하게 존재했던 성범죄들을 피해자들의 용기 있는 외침, 미투 운동으로 더 나은 사회를 향한 발걸음을 만들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운동의 근본적인 의미가 퇴색되지 않도록 대중들은 미투 운동에 대해 배타적 대립을 보이지 않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성숙하지 못한 행동에 악영향을 받고 피해를 입는 사람들은 가해자가 아닌 피해자와 그 가족들입니다. 피해자들이 그늘 속에 살아야 하는 사회적 모순을 고치기 위해 만들어진 미투 운동이 역으로 돌아가 피해자들에게 타격을 주는 일이 없도록 모두가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현재의 미투 운동에 관한 논란을 통해 사회가 더 성숙해질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저작권자 © 카이스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