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화의 진화 이론은 유전자의 전달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보고 있다. 유전학자의 입장에서 본 노화 이론은 어떤 모습일까. 우리 학교 생명과학과 정재훈 교수를 만나 노화에 대한 의견을 들어보았다

노화라는 현상을 어떻게 보는가
노화는 굉장히 복잡하고 비정형적인 과정이다. 흔히 노화를 생식이나 생존 능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정의하는데, 나는 그다지 좋은 표현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마치 노화가 자연선택에 반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노화를 병에 잘 걸리게 되거나 신체가 퇴행하는 현상으로 정의할 수도 있겠다.

사실 노화 유전자는 자연선택으로 걸러지거나 선택되지 않고 그대로 후대에 유전된다. 일정 이상의 나이에서 효과가 나타나는 번식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
 
노화의 진화 이론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노화의 원인에 대해 굉장히 다양한 시각과 이론이 있다. 사실 ‘노화의 진화’라는 개념 자체도 명확하게 정립되지 않았다. 이런 상황에서 하나의 이론으로 노화를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 하지만, 이 이론들은 서로 대립하지 않는다. 즉, 한 이론이 옳다고 해서 다른 이론이 틀린 것이 아니라, 노화의 여러 측면을 나름대로 설명하는 것이다.

그러나 특정 유전자나 성질이 노화를 촉진하는 대신 생식 능력을 높인다는 식의 단순한 관점은 무리가 있다고 본다. 노화는 여러 유전적 활동이 복합적으로 일어나는 것이지, 한 가지 성질만으로 노화의 형성을 설명할 수는 없다.

노화의 진화 이론이 간단한 하나의 이론으로 정립될 수 있을까
아마 불가능할 것이다. 사실 노화가 진화적으로 형성되었다는 말 자체도 잘못되었다. 이는 마치 원래 영원히 살던 생명체가 수명이 줄어드는 방향으로 진화했다는 것처럼 들린다. 하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 생명이란 원래 유한한 것이고, 수명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진화가 이루어진 것이 맞다.

위에서 말했듯이 노화 자체가 매우 복잡한 현상이다. 인간 사회의 측면에서 보면, 사회 구성원의 일부가 노인이 되어 후대에 지식을 전달하고 손자 세대를 양육하는 역할을 하는 편이 사회의 존속에 더 유리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노인을 공경하는 사회의 모습이나 노인층의 역할을 중요하게 보는 이런 시각에서는 뇌의 발달 이론이나, 심지어 진화심리학까지 고려해야 한다. 앞으로는 더 넓은 범위의 학문적 해석이 필요한 이론이 등장할 수도 있다. 따라서 시간이 지날수록 더 다양한 자료의 양이 늘어날 뿐 하나의 이론으로 정리될 수는 없다.

노화 억제 물질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노화라는 현상 자체가 매우 다양하고 복잡한 현상인데, 어떻게 한 가지 물질이 노화를 방지하거나 억제할 수 있겠는가? 그런 일은 불가능하다. 사람마다 노화의 원인이 다를 수 있고, 어떤 사람에게는 매우 좋은 효과를 보이는 물질이 다른 사람에게는 전혀 소용없을 수도 있다. 물론, 어떤 노화 현상은 다른 현상에 비해 더 많은 사람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날 수 있고, 이런 현상을 억제한다면 더 넓은 범위의 사람에게 효과를 보일 수도 있다.

사람이 노화나 죽음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생각하나
노화는 이미 우리 유전자에 내재되어 있는 현상이고, 죽음도 마찬가지다. 이를 겸허히 받아들이고 만족하는 삶을 살아야 한다. ‘그나마 이 정도인 게 다행이다’라고 생각하고 살자는 것이다.    

저작권자 © 카이스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