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양분관의 정문 출입문은 자주 고장 나기로 소문난 장소다. 교양분관이 많은 학우가 학업을 위해 자주 찾는 곳인 만큼, 출입문에 가는 무리도 많은 모양이다. 하지만, 대부분은 출입문이 고장 났을 때 신고를 하면 담당 직원들이 발 빠르게 움직여 수리하므로, 학우들이 심각한 불편을 겪는 사태는 적은 편이다.
완벽한 제도는 있을 수 없기에, 어느 제도를 시행하더라도 교양분관의 출입문과 같이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다. 그때 필요한 것이 정확하고 빠른 대처다. 후속 대처를 확실히 취하지 않음은 제도의 맹점을 버려두는 행위와 다를 바 없다.
학부 동아리연합회(이하 동연) 제도의 문제가 드러난 선거 무기한 연기 사태에 대해, 지난 5월 임시 동아리 대표자 회의(이하 동대회)는 대처 방안으로 동연 포럼 개최를 택했다. 그 목적은 ▲동연에 대해 알아갈 기회 제공 ▲동연의 향방 관련 논의 위한 브레인스토밍 자리 마련 ▲동연 진입장벽 낮추려는 방안 마련이었다.
제1회 동연 포럼이 종료된 지금, 이를 되짚어 보면 그들의 후속 대처에는 약간의 아쉬움이 남는다. 우선, 동연 포럼은 대의성을 확보하지 못했다. 지난 동대회에서는 포럼은 모든 동연 회원을 대상으로 하며, 청중이 11명 이상 모이지 않으면 포럼을 연기하기로 결정된 바 있다. 하지만 지난 포럼은 청중이 11명이 되지 않았음에도 논의가 시작되었다. 논의 중에 몇몇 학우가 더 참가해 결과적으로는 11명 이상의 청중을 확보했지만, 동대회에서 의결된 최소 인원을 확보하지 못한 채 포럼을 시작한 TF의 행보는 동연 회원 전체의 의견보다는 그들의 신념에 더 비중을 두고 있는 것으로밖엔 비치지 않는다.
두 번째로, 주제 선정이 적절치 못했다. 논의가 진행되지는 않았지만, 이날 논의키로 예정된 주제에는 ‘동연 재건에 대한 학부 총학생회(이하 총학)의 입장’이 포함되어 있었다. 총학에 협조를 요청하려는 생각 자체는 그리 부자연스럽지 않다. 다만, 6번의 포럼 중 처음 마련된 자리에서 동아리 구성원들의 의견을 모으는 것이 아닌 외부 단체의 입장을 묻는 것은 시기를 잘못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현 동아리들의 조급한 심정이 반영된 현상이 아닐까. 직접적인 타격을 받을 그들은 확실히 외부인보다는 더 심한 압박을 받을 것이다. 하지만 애초에 그들이 택한 해결책이 기존 제도를 보완하기 위한 것인 만큼, 후에 또 다른 문제를 낳지 않을 신중한 결정을 내려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카이스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