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7일, 학부 동아리 연합회(이하 동연)의 임시 동아리대표자회의(이하 동대회) 일시가 공고되었다. 지난 3월 30일 동연 선거 본부(이하 선본) <안개>가 출마를 무기한 연기한 이후 처음 열리는 동대회다. 오는 4일 열리는 임시 동대회는 동연회원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토론을 통해 상정된 안건을 처리할 예정이다.
이번 동연 사태는 동아리에 가입하지 않은 학생들까지도 그 소식을 접하였을 정도로 크게 불거졌다. 특히 우여곡절 끝에 등장한 선본 <안개>마저 사라지자, 현 사태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는 더욱 커졌다. 이에 지난달 7일, 동대회 대의원 수의 1/4이 넘는 정동아리 대표자 22인은 임시 집행부에 동대회 소집 요청 연서를 제출했다. 그 내용은 여태까지의 동대회는 체제 유지에만 힘썼을 뿐 동연의 지속적 발전을 논하는 자리가 되지는 못했으므로, 동연의 변화를 위해 열린 토론의 장을 마련하자는 것이었다. 세부적으로 대표자들은 ▲현 선거관리위원회의 해체 ▲동연 소속 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한 토론회 정기 개최 ▲매 토론회 시 기록 공개를 요청했다.
일각에서는 이번 동연 사태에 대해 ‘언젠가는 일어날 일이었다’라고 평가했을 만큼, 기존 시스템에서 동연의 업무는 특정 직책을 맡은 학생들에게 집중되어 있었다. 이번 본지에서 다루었듯, 실제로 현재 동연의 여러 상시 사업들은 진행조차 되지 않고 있다는 점이 이를 반증한다. 한동안은 그 업무를 도맡아 수행할 동연 집행부가 존재했으나, 당시에도 집행부의 업무가 과중하다는 사실은 익히 알려져 있었다. 따라서 이번 동연 회장단 선거가 이루어지지 못한 것은 현 동연 구성원들의 책임감 문제라기보다는 여태 방치해왔던 시스템의 병폐가 결국 문제를 일으켰다고 보는 게 정확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동아리 대표자들이 나서 나름의 해결책을 제시한 것은 눈여겨볼 만하다. 동연이 현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해선 기존 시스템을 대체할 새로운 제도가 필요하다. 그리고 그러한 제도는 동연에 속하지 않은 외부인들의 의견이 강하게 작용하기보단, 그 제도에 따라야 할 동연회원들에 의해 마련되어야 함이 마땅하다. 따라서 동아리 대표자들이 대안을 내놓은 것이 반강제적인 것이든, 상황 타개를 진심으로 원한 것이든, 새로운 체제의 출발을 동연이 먼저 알렸다는 점에 의의를 둘 수 있다.
임시 동대회가 아직 열리지 않은 지금, 그들이 제시한 ‘열린 토론의 장’이 실효성이 있을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그와 유사한 방식으로 진행되었던 지난 3월 20일 동대회의 경우 선본 <안개>의 출마 선언 전까지는 건설적인 담론을 형성하였다는 평가를 받은 것처럼, 다가올 임시 동대회에 기대를 걸어볼 수 있지 않을까. 학생사회의 한 축을 담당하는 동연의 방향성이 결정되는 자리인 만큼, 동연 구성원들은 책임감을 갖고 토론에 임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카이스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