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주> 강성모 총장이 취임한 지 2년이 지났다. 강 총장의 약속된 임기는 4년으로, 올해 초 임기의 절반이 지났다. 한동안 혼란스러웠던 학교를 정리해야 했던 강 총장이었다. 본지는 지난 2년간 강 총장의 행보를 되돌아보고 앞으로 해결할 문제점을 찾기 위해 23일부터 27일까지 5일 동안 우리 학교 온라인 설문 시스템(vote.kaist.ac.kr)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이번 설문조사에는 총 522명의 학내 구성원이 참여했다. 설문조사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강 총장 되돌아보기> 항목에서는 강 총장의 지난 2년 동안의 행보를 평가했다. 그리고 세부적으로 ▲행정 ▲교과 ▲복지로 나눠 각 부문에 해당하는 사안의 성과와 소통을 평가했다. <강 총장의 과제> 항목에서는 앞으로 강 총장이 해결해야 할 문제점에 관해 물었다. 크게 ▲창업 환경 ▲영어 수업 ▲기성회비에 대한 문항으로 이뤄졌다. 이번 호에서는 강 총장이 지난 2년 간 걸어온 행적을 정리했다.


소통이 매끄럽지 않았던 행정 정책

설문에 참여한 학교 구성원은 강 총장의 행정 부문 행보에 대해 평균 3.50의 평점을 내렸다. 하지만 행정 부문 정책을 수행할 때의 소통 점수는 평균 3.34로 다소 낮게 평가했다. 소통 점수가 낮게 나온 이유는 행정 문항에 포함된 사안이 학내 구성원에게 민감했지만 이를 깔끔히 진행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특히, 작년에 시행한 UI 변경 사업과 문지캠퍼스 이전 관련 논란이 낮은 소통 점수에 많은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분석된다. UI 변경 사업에 대해 ‘UI 디자인 변경과정이 매끄럽지 않았다’라고 답한 사람은 전체 응답자 중 약 72%에 해당한다. 또한, UI 변경과 함께 공개된 캐릭터에 관해서도 구성원들의 비판은 이어졌다. 약 80%에 달하는 응답자가 ‘캐릭터 선정을 위해 교내 구성원의 의견을 물었어야 했다’라고 답했다. 또한, 문지캠퍼스 활용 방안에 대해서는 약 85%가 ‘교내 구성원과의 간담회가 필요하다’라고 답했다.

강 총장은 지난 2년 동안 많은 간담회를 개최하며 소통의 총장으로서의 행보를 이어갔다. 하지만 이에 대해서 ‘형식적인 간담회였을 뿐이다’라고 답한 사람은 약 46%에 달했다. 38%는 ‘각종 간담회로 학우들의 의견이 잘 반영되었다’라고 답했고 ‘주최할 필요가 없었다’가 3%, ‘아무 의견이 없다’가 13%를 기록했다.

웹사이언스대학원, 정보보호대학원의 전산학부 통합에 관해서는 약 47%가 ‘학과 통합으로 각 학과는 더 큰 발전을 이룰 수 있다’라고 답했지만, 위 답안에 답한 243명 중 204명은 ‘소통이 부족했다’라고 지적했다. 하지만 ‘아무 의견이 없다’라고 답한 사람이 37%에 달하고 다수의 응답자가 추가 의견으로 ‘타과 소속이라 학과 통합에 대해 잘 모른다’라고 답했다.

한편, 학생대표의 각종 위원회 참가는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강 총장 취임 이후 발족한 핵심가치제정위원회, 브랜드위원회, 중장기발전위원회, 교육혁신위워회 등 여러 위원회에 학부총학생회 회장단, 대학원총학생회 회장단을 비롯한 학생대표가 참여한 바 있다.(관련기사 본지 377호 <위원회, KAIST 비상 이끌까>) 약 67%의 응답자가 ‘각종 위원회에 학생대표를 참가시킨 것은 옳은 결정이다’라고 답했다. ‘더 많은 학생대표가 참가했어야 했다’라고 답한 사람은 전체 응답자 중 29%이었다. 나머지 응답자는 ‘각종 위원회에 학생대표를 참가시킬 필요는 없었다’(1%), ‘아무 의견이 없다’(3%)라고 답했다.

새로 바뀐 UI 디자인에 관해서는 ‘디자인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52%)라는 의견이 ‘디자인이 마음에 든다’(38%)라는 의견보다 다소 우세했다. 나머지 10%는 ‘아무 의견이 없다’라고 답했다.

 


교과 정책의 키워드는 복고와 변화

교과 부문에서는 ▲교비장학금 수혜 기준 완화 ▲계절학기 수강료 인하 ▲98학점 이수 후에도 부/복수전공 신청 가능 ▲기초필수 강의 언어 선택 가능 ▲수강신청기간 통일 ▲수강신청변경기간 변경 ▲심화전공제도 ▲Education 3.0 ▲이공계장학금 환수 총 9가지에 대한 평가가 이어졌다. 학내 구성원은 교과 정책의 전반적인 평가로 평균 3.44의 평점을 매겼다. 이와 관련된 소통은 평균 평점 3.23을 받았다. 행정 부문에 이어 교과 부문에서도 소통 평점이 전반적인 평점보다 더 낮게 책정되었다. 교과 부문은 크게 서남표 전 총장의 흔적을 지우는 ‘복고’ 정책과 새로운 시도를 꾀하는 ‘변화’ 정책으로 나눌 수 있다. 앞 4개의 정책이 전자에 해당하며, 나머지가 후자에 해당한다.

 

교비장학금 수혜 기준을 직전 학기 평점 3.0에서 2.7로 완화한 것에 대해 66%가 ‘옳은 결정이다’라고 답했다. 추가 의견으로 대부분 ‘3.0은 너무 높다’ 혹은 ‘2.7이면 적당하다’라는 의견을 달았다. ‘심리적 압박감을 덜게 되었다’라고 쓴 응답자도 있었다. 반면, 19%는 ‘완화될 필요는 없었다’를 선택했다. 이 선택지를 고른 응답자는 대부분 ‘학점 인플레이션’을 걱정했다. 이들은 학교가 평균 학점을 높게 주는 상황에서 장학금 수혜 기준을 낮추면 학생들은 공부를 더 안 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장학금 수혜 기준이 지금보다 더 완화되었으면 한다’라고 답한 사람은 11%, ‘아무 의견이 없다’라고 답한 사람은 4%이었다. 또 다른 추가 의견으로 ‘교비장학금 수혜 대상자가 못 되었을 때 성취도를 불러일으킬 만한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직전 학기 대비 학점 상승 경향이 뚜렷한 학생에게는 인센티브를 주는 것도 좋다’등이 있었다.

계절학기 수강료는 지난 겨울학기부터 75,000원에서 50,000원으로 인하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수강료는 더 인하되어야 한다’(50%)라고 생각한 사람이 주를 이루고 있다. 대부분은 국공립대학교 수강료 평균인 30,000원 수준까지 낮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수강료가 충분히 인하되었다’(42%) 혹은 ‘인하할 필요는 없었다’(4%)라고 답한 응답자는 ‘강의의 질을 고려하면 50,000원은 비싸지 않다’라는 의견을 내세웠다.

작년 상반기에 학내는 이공계장학금 환수 논란으로 들썩였다. 한국장학재단에서 대통령과학장학금, 이공계국가우수장학금 수혜자가 졸업 후 비이공계로 진출하면 장학금을 환수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우리 학교 역시 교비장학금 수혜자도 환수 대상이라고 밝혔다. ‘비이공계 진출을 이유로 교비장학금을 환수하는 것은 이공계 발전에 해가 된다’라고 생각한 사람은 76%에 달했다. ‘비이공계로 진출하는 졸업생의 장학금을 환수해야 한다’라는 의견은 18%, ‘아무 의견이 없다’는 6%를 기록했다. ‘이공계와 비이공계를 구분할 수 없다’ 혹은 ‘근시안적인 판단이다’ 등이 추가 의견으로 나왔다.

이공계장학금 환수 논란이 상반기의 논란이었다면, 작년 하반기의 이슈는 바로 심화전공제도다.(관련기사 본지 399호 <교학팀, 전공이수요건 대폭 강화한 학사과정 개편안 발의>) 하지만 이공계장학금 환수 논란과 달리 심화전공제도는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심화전공제도가 ‘학생의 전공 역량을 강화시킬 것이다’라고 생각한 응답자는 전체의 79%에 해당한다. ‘심화전공이 학생의 전공 역량을 강화시킨다는 의견에 동의할 수 없다’라고 답한 비율은 26%였다.


교과 부문 소통 점수가 더 낮은 이유는

교과 부문에서도 소통 점수가 더 낮게 나온 이유는 ‘수강신청변경기간 변경’과 ‘심화전공제도’의 영향이 크다. 두 정책 모두 학내 구성원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데 집행과정에서 혼란이 일어났기 때문이다. 이번 봄학기부터 수강신청변경기간은 개강 1주 전부터 개강 1주 후까지로 바뀌었다. 수강신청제도의 변화는 지난해 11월에 공표되었지만, 그때는 많은 이의 이목을 받지 못했다. 이 때문에 많은 학내 구성원은 4개월 후 갑작스럽게 이 변화를 체험하게 되었고, 뒤늦게 학내 여론은 들썩였다. 특히, 본지의 설문에 수강신청변경기간의 영향을 많이 받는 학부생이 많이 참여했기에 소통이 부족했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설문 답변에도 ‘불편하다’, ‘개강 후 1주는 너무 짧다’라는 의견이 주를 이뤘다.

심화전공제도는 작년 말에 갑작스럽게 공론화되었다. 당시 학부총학생회 <블라썸>이 공론화를 하지 않은 탓에 학내 구성원은 더욱 갑작스럽게 느낄 확률이 높았다. 심화전공제도가 공론화되자 학우들은 반대시위를 열고, 각 학과 과학생회에서 현실적 어려움을 토로했다. 결국, 학교는 간담회를 개최했지만, 간담회에서 합의점을 찾지는 못했다. 이런 학교의 일방적인 밀어붙임이 학내 구성원들에게 ‘소통 부족’이라는 이미지로 다가왔을 것이다. 교과 정책의 소통 점수는 두 정책으로 야기된 혼란과 무관하지 않다.

저작권자 © 카이스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