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그녀>에서는 이혼 위기에 놓인 외로운 테오도르가 운영체제와 사랑에 빠진다. 인공지능 컴퓨터, 운영체제라는 단어만 들으면 자칫 <그녀>가 SF영화에 가깝지 않을까 하는 막연한 편견을 심어주기도 한다. 하지만 그 편견을 걷어낸다면 운영체제라는 신선한 소재로 사랑을 아름답게 풀어낸 영화를 만날 수 있다. 비록 눈에 보이는 신체는 없지만, 사람의 감정을 학습하는 운영체제는 테오도르의‘ 그녀’가 되어 여느 평범한 연인과 다르지 않은 사랑 이야기를 펼친다.

테오도르는 사람들의 편지를 감성적인 문구로 대신 채워주는 일을 하지만 정작 자신은 집에서 외롭게 게임이나 하는 처지다. 외로움을 달래기 위해 랜덤 채팅이나 소개팅으로 여자를 만나보지만 쉽게 연인 관계로 발전하지 않는다. 그때 테오도르는 스스로 생각하고 감정을 느끼는 운영체제를 구매하게 되고, 운영체제는 자신을 사만다라고 소개하며 깊은 대화를 나눈다. 영화 속에서 그의 컴퓨터가 테오도르의 혼잣말을 편지 문구로 착각하고 수동적으로 받아쓰는 장면은 사만다가 일반적인 컴퓨터와는 다른 능동적인 운영체제임을 확실히 전달한다. 사만다는 실체가 없으므로 목소리와 대화가 주도적으로 이야기를 이어나간다. 사만다는 테오도르에 최적화되어 대화를 나누기 때문에 그는 다른 여자들보다도 사만다가 자신과 잘 맞는다고 생각하며 사랑에 빠진다. 하지만 테오도르는 이내 사만다에 권태감을 느낀다. 마치 다른 사람의 편지를 대필해주는 자신의 직업처럼, 사만다도 그저 사람의 감정을 습득해서 전달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기도 한다. 하지만 친구의 조언을 듣고 자신의 감정을 돌아본 후 그는 몸이 없는 사만다와 그 어떤 사람보다도 진실하게 관계를 맺고 있음을 깨닫는다. 직장 동료와 더블데이트를 갔을 때, 동료는 여자 친구의 발가락이 가장 예쁘다며, 사만다의 어느 면이 좋으냐고 묻는다. 테오도르는 당당하게 사만다가 완벽한 존재라며 치켜세운다. 한 공간에 함께 있었던 순간을 사진으로 남길 수 없기에 그 순간을 음악으로 표현하며 둘은 서로를 서로의 일부로 간직한다. 그녀와 그는 관계를 맺으며 주체인 자신과 대상인 상대방의 경계가 점점 흐려지는 것을 경험하게 된다.

여느 연인이 그렇듯 테오도르와 사만다의 관계도 끝이 난다. 테오도르는 운영체제인 그녀 덕분에 이전엔 경험하지 못했던 사랑을 겪었고 진정한 관계를 이해하게 된다. 그는 전 아내에게 편지를 보내며 자신이 관계를 맺는데 서툴렀음을 고백한다. <그녀>는 적극적인 소통으로 사람을 사귀기보다 스마트폰, 컴퓨터를 가까이 하는 현대인에게 사람 사이의 진정한 교감에 대해 돌아보는 기회를 제공한다. 자신이 테오도르처럼 소통과 관계의 부재로 고민하고 있다면, 따뜻한 색채의 아름다운 장면들이 전하는 메시지를 들어보는 것이 어떨까.
저작권자 © 카이스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