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숙사 진리관 사감직원이 현관 천장에 붙어있는 대벌레들을 빗자루로 쓸어내고 있다. 대벌레는 바닥뿐만 아니라 천장에도 상당수 붙어있었다 /송민성 기자

‘대벌레가 너무 많아 징그럽다 못해 무서울 정도다’, ‘대벌레가 자전거를 뒤덮고 있어서 궁동에서 친구를 만나기로 한 약속에 걸어가야만 했다’, ‘죽은 대벌레 더미에서 동물의 사체가 썩는 악취가 난다…’

여느 괴담에서나 나올 것 같은 이야기다. 지난 6월 초부터, 우리 학교 북측 기숙사 일대에는 대벌레 개체수가 급작스럽게 증가하는 바람에 많은 학우가 피해를 봐야만 했다. 지난 몇년 간, 북측 숲에서 내려온 것으로 추정되는 대벌레들이 여름만 되면 출몰했지만 올해는 그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이다. 북측 기숙사에 거주하는 학우들과 사감직원은 급기야 시설팀에 즉시 방역을 해 달라고 요청했다. 시설팀은 6월부터 약 6회 정도 방역을 실시했다. 방역기간동안 죽은 대벌레 더미에서 나는 악취로 학우들이 불편을 호소하기도 했지만, 현재 대벌레 개체 수는 큰 폭으로 줄었고 학우들의 불편은 많이 사그라졌다.

▲ 어은동산의 나무가 백로의 분변으로 인해 고사해 있다 /한연승 기자

대벌레 문제가 수습되자 다음으로는 어은동산에 서식하는 백로들의 배설물 악취 문제가 수면위로 떠올랐다. 백로 배설물 문제가 하루이틀된 것은 아니다. 장마철만 되면 어은동산에 사는 천여 마리의 백로들이 배설한 분비물이 빗물을 타고 인근 인도까지 내려왔다. 어은동산의 위치가 캠퍼스 중앙인 관계로, 그 역한 냄새는 근처를 지나는 많은 학우와 시민의 코를 찔렀다. 게다가 백로 배설물은 강한 알칼리성을 띠고 있어 어은동산의 일부 나무들은 고사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또한, 상당수의 나무가 껍질이 벗겨지는 등 피해를 입고 있다.

대벌레와의 한판 전쟁을 치른 시설팀은 다음 목표를 어은동산 악취 해소라고 밝혔다. 시설팀은 간단한 효과 실험 후 이르면 8월 초, 냄새 제거 효소를 어은동산 전체에 뿌릴 계획이다. 동시에 토양의 중화를 위해 대책을 마련하겠다는 것이 시설팀의 방침이다.

저작권자 © 카이스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